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정보를 주고싶은 연이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가슴아프고 슬프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5년 3월 28일 오후 12시 50분경, 미얀마 중부를 강타한 강력한 지진이 동남아시아 전역을 뒤흔들었습니다. 이번 지진은 리히터 규모 7.7의 강진으로 미얀마 사가잉 지역에서 발생해서 인근 국가들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진 발생 시각은 현지 시간으로 오후 12시 50분경이었으며, 진원 깊이는 약 10km로 비교적 얕았습니다.

지진 상황

bbc에서 알려드린 지진상황입니다.
bb

미얀마 군정 수장은 TV 연설을 통해 "지진으로 사망자 694명으로, 부상자 1천 670명이라고 밝혔습니다. 

태국 구조대는 태국 빌딩 붕괴 사고로 건설 노동자 117명이 매몰되고 5명이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VSGS)은 미얀마 지역에서 이번 지진 사망자가 1만 명 이상으로 불어날 가능성을 71%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지진 발생 정보

- 진앙 :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km 떨어진 지점

- 규모 : 7.7 (미국 지질조사국 및 유럽지중해지진센터 발표)

- 진원 깊이 : 10km

- 발생 시각 : 현지 시각으로 오후 12시 50분경

 

 

지진

미얀마의 지진 피해 상항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훌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고 밝혔습니다. 

미얀마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여러 건물이 붕괴되고 도로가 파손되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만달레이 인근에서 큰 피해가 보고되었는데, 한 목격자는 5층 건물이 눈앞에서 무너지는 것을 보았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타웅구

마을에서는 모스크가 심하게 파손되어 최소 3명이 사망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지진상황의 모습입니다.

미얀마 정부는 수도 네피도를 포함한 6개 지역과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만달레이서는 병원이 대량 사상자를 수용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부상자들은 거리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규모 인명 피해 예상되나 정확한 집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만달레이 지역 지진 피해

 

-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 (인구 약 120만 명)에서 심각한 피해 발생했습니다.

- 왕궁을 비롯한 많은 역사적 건물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 소셜 미디어를 통해 무너진 건물과 거리에 흩어진 잔해 목격했다고 합니다.

 

 

양곤 지역

 

- 여러 건물 붕괴 보고되고 있습니다.

- 양곤 ~ 만달레이 간 고속도로 파손되었습니다.

 

네피도(수도) 지역

 

- 많은 건물과 사원 붕괴되었습니다.

 

미얀마 지진의 특성과 원인

이번 지진은 사가잉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주향이동단층 운동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지각판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면서 발생하는 지진 유형입니다.

 

지진학자들은 이 지역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가능성을 이미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노부오 후루카와와 표 마웅 마웅의 연구에 따르면, 사가잉 단층을 따라 두 개의 지진 공백 지대가 존재했으며, 이 중 하나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 7.9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미얀마 지진의 특성과 원인

국제 사회의 반응과 구조 활동

지진 발생 직후, 국제 사회는 신속하게 대응에 나섰습니다. 여러 국가와 국제 기구들이 구조팀 파견과 긴급 구호 물자 지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접국들은 즉각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태국에 기반을 둔 기독교 비영리 단체 라디온 인터내셔널 유진 위 사무총장은 ' 치앙마이에 있는 우리 아동 구조 센터와 직원들 30여 명이 대피해야 했다 ' 며 현지 상황을 전했습니다.

 

이번 지진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지진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이 지역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지진 피해 복구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건축물 내진 설계 강화 : 특히 고층 건물과 주요 시설물의 내진 설계 기준을 강화해야 합니다.

2. 조기 경보 시스템 개선 :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3. 국제 협력 강화 : 지진 대응을 위한 국가 간 협력 체제를 강화해야 합니다.

4. 대중 교육 확대 : 지진 대비와 대응에 관한 대중 교육을 확대해야 합니다. 

 

 

지진에 대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고 싶은 연이입니다! 지진은 특히 환태평양 지역에서 매우 파괴적인 자연재해입니다. 지진 발생 후 집은 엉망이 되고 수도와 전기가 끊길 수도 있습니다. 지부 안팎

banhada486.com